alpyrithm_알파이리즘
[알고리즘][Java] 백준(BOJ) 2193 이친수_자바 본문
DP
2193 이친수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193
2193번: 이친수
0과 1로만 이루어진 수를 이진수라 한다. 이러한 이진수 중 특별한 성질을 갖는 것들이 있는데, 이들을 이친수(pinary number)라 한다. 이친수는 다음의 성질을 만족한다. 이친수는 0으로 시작하지 않
www.acmicpc.net
문제 풀기 전 공부할 것 :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풀이
<내용>
- n을 Scanner로 입력받는다.
- 1번 규칙에 의해 n = 1 일 때는 1만 가능하다.
- n = 2 일 때는 1 뒤에 0만 올 수 있다.
- 2번 규칙에 의해 N자리에 0이 올 수 있는 경우는 앞의 숫자가 0 또는 1일 때이고, 1이 올 수 있는 경우는 앞의 숫자가 0일 때만 가능하다.
- 위의 규칙을 이용해서 개수를 세면 된다.
- dp에 초기값이 0인 2차원 배열을 저장한다.
- dp [n+1][2]의 형태이다.
- 위의 규칙대로 for문을 돌면서 개수를 저장한다.
<코드>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n = sc.nextInt();
sc.close();
long[][] dp = new long[n+1][2];
dp[1][1] = 1;
for (int i=2; i<=n; i++) {
dp[i][0] = dp[i-1][0] + dp[i-1][1];
dp[i][1] = dp[i-1][0];
}
System.out.println(dp[n][0] + dp[n][1]);
}
}
비슷한 풀이의 난이도 있는 문제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057
11057번: 오르막 수
오르막 수는 수의 자리가 오름차순을 이루는 수를 말한다. 이때, 인접한 수가 같아도 오름차순으로 친다. 예를 들어, 2234와 3678, 11119는 오르막 수이지만, 2232, 3676, 91111은 오르막 수가 아니다. 수
www.acmicpc.net
728x90
반응형
'개인공부 >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알고리즘][Java] 백준(BOJ) 11057 오르막 수_자바 (0) | 2022.02.10 |
---|---|
[알고리즘][Java] 백준(BOJ) 10844 쉬운 계단 수_자바 (0) | 2022.02.09 |
[알고리즘][Java] 백준(BOJ) 9095 1, 2, 3 더하기_자바 (0) | 2022.02.08 |
[알고리즘][Java] 백준(BOJ) 11727 2Xn 타일링 2_자바 (0) | 2022.02.07 |
[자바/Java] 프로그래밍 입문 정리 1 (0) | 2020.12.29 |
Comments